Asian J Kinesiol Search

CLOSE


Asian J Kinesiol > Volume 25(1); 2023 > Article
Park, Seon, and Yu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ilates Research Trends: A Review of Literature in Natural Science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direction and quality of Pilates research in the futu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Pilates natural science at home and abroad.

METHODS

In order to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Pilates research trends, we analyzed academic papers of the last 10 years (2013-2022) in the natural science field, and domestic papers were used as the keyword ‘Pilates’ using DP Pia, Kiss, and Riss, which ar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A total of 105 papers were used by searching. For overseas studies, Pub med and Scholar were used, and only SCI and SCIE papers were collected and 129 papers were searched.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by domestic and foreign fields, physiology (61%), kinematics (24.8%), and rehabilitation (14.2%) were found in the order of domestic, whereas in foreign countries, kinematics (34.9%) and physiology (33.3%) and rehabilitation (31.8%), a study with a relatively even distribution was conducted. Secon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by study subject, domestic literature was the highest with 68.7% of studies targeting women, and was conducted separately by various age groups. Foreign fields, 40.9% of studies conducted by gender were found, and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metabolic diseases rather than gender. Third, looking at the comparison by research variabl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various topics in physiology and kinetic dynamics. However, while domestic studies have focused on changes in body composition, foreign studies are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on muscle function,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rehabilitation.

CONCLUSIONS

In summary, it is judged that ac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kinematics and rehabilit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more diverse subjects in the field of Pilates.

서론

필라테스 운동은 조셉 필라테스(Joseph Hubertus Pilates)에 의해 고안된 운동으로 요가, 무술, 명상 및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의 운동방법에서 영감을 얻어 개발되었다[1,2]. 필라테스는 1차 세계대전 중 포로수용소에서 재소자의 재활 목적으로 적용되었으며, 추후 미국 뉴욕에 스튜디오 설립을 기점으로 체계화된 운동 시스템을 정립하였다[1,3].
필라테스는 크게 매트(Mat)운동과 기구(Reformer, Cadillac, Chair, Ladder Barrel)운동으로, 매트 위에서 자신의 신체를 이용해 실시하는 방법과 스프링 및 도르래를 활용하여 기구를 사용한 저항운동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2,4]. 필라테스 운동에 적용되는 핵심 원칙은 총 6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화(Centering), 집중(Concentration), 조절(Control), 정확성(Precision), 호흡(Breathing), 흐름(Flow)의 원리를 기반으로 운동하도록 권장하고 있다[2,3,5,6]. 특히 코어 강화를 기반으로 척추의 만곡과 자세의 대칭적인 체중 부하를 유지하면서 머리, 어깨, 골반을 중립 위치에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올바른 신체 정렬 유지에 중점을 두고 있다[7]. 필라테스 운동을 통한 긍정적 효과는 참여자의 운동효과와 만족도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특히, 호흡 및 척추 분절의 유연성 및 근력 강화 운동은 신체 조절능력 및 자세교정에 매우 효과적이며, 높은 미디어 노출이 이뤄지면서 참여인구가 꾸준히 증가되고 있으며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8-10].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연구 결과를 제시하는 것은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1]. 그러므로 운동 종목이나 운동과학 분야에서의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며, 이 연구들에 대한 체계적 고찰 연구를 통한 이론적 확립이 필요하다. 운동에서의 인문분야, 심리학, 마케팅, 사회학 등의 인문사회과학의 접근을 통해 질적효과, 자기효능감, 구매의도 및 사회적 참여욕구 증가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12-15], 생리학, 역학, 운동재활 등의 자연과학적 접근을 통해. 선수들의 운동수행능력을 증가시키거나, 운동손상 예방, 재활, 건강 관리, 신체적 변화[16-20] 등 현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해왔다. 이처럼 운동과학의 꾸준한 발전을 위해서는 과학적 탐구와 새로운 발견, 운동반응에 대한 논리적 지식.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운동 역할의 강화가 필요하다. 그 중 임상연구를 통해 스포츠 의학, 스포츠 융합을 포함한 자연과학 분야의 발전은 기초과학 및 응용과학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21].
필라테스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국내·외에서 인문사회 및 자연과학 분야에서 연구되었다.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이새롬 등[22]은 필라테스 재활운동으로 신체적 자기 효능감과 운동 정서 및 수업에 대한 몰입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오현옥[23]은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사회적 고립감 해소를 위한 연결망으로,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고립감 개선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필라테스 운동은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증진 뿐 아니라 사회적 연결망의 형태로 사람과의 관계성과 소통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의 측면을 제시하였다.
국내의 자연과학 분야의 선행연구는 신체 조성 및 재활과 연관된 주제가 연구되었다. 박다은과 임승길[24]은 10주간의 필라테스 운동을 통해 만성 요통이 있는 중년여성의 엉덩관절 및 요부의 가동성과 안정성을 증가시키며, 통증 수준을 감소시켰다. 여성 청소년에게 발생하는 특발성 척추측만증(Scoliosis) 질환에 대한 교정 운동으로 중재 된 필라테스 운동은 자세개선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25]. 또한, 김효진 등[26]은 12주간의 기구를 이용한 필라테스 운동이 근 기능에 효과적이었으며, 현아현과 조준용[27]은 출산 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비대면 필라테스 운동을 통해 체지방, 내장지방, 복부 및 엉덩이 둘레, 피하지방 감소에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국외의 필라테스 자연과학 분야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Rydeard et al.[28]은 필라테스 운동 후 근신경 조절능력 향상을 통해 만성 요통 환자(Chronic Back Pain Patient)들의 주관적 통증 지수(Pain intensity score)를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만성 요통 환자들의 필라테스 운동중재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한 Eliks et al.[29]에 의하면 많은 연구에서 필라테스 운동을 통해 통증의 감소 및 신체 기능적 능력을 개선시킨 연구 결과들이 일치된 견해를 보여주었으며, 3~6개월 동안 운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때 더욱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만성 요통 환자들에 대한 문헌 고찰(Review) 결과, 필라테스 운동은 근신경의 협응력, 유연성, 신체 조절 능력 등의 향상과 통증 지수 감소에 도움이 되었다.
필라테스 운동은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로 알려진 파킨슨(Parkinson)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파킨슨 질환자들에게 필라테스 운동 중재를 통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신체 균형능력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하지의 근기능에 대한 이점이 다른 운동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30]. 또한, 필라테스는 건강 체력의 지표로 볼 수 있는 신체 조성의 변화와 체지방 감소[31], 심폐지구력 향상[32]에도 도움을 주었다. 이처럼 선행연구에서는 필라테스 운동을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
국내에서 진행되었던 필라테스 연구 동향을 종합해보면 근골격계, 순환계, 신체조성 및 건강체력의 변화를 보는 생리학적 요인과 재활 및 회복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연구 되고 있으며[33]. 국외 논문에서는 만성 요통환자, 파킨슨 환자, 비만환자 등 다양하고 구체적인 대상자들이 언급되어 지고 있으며 세부분야도 고른 분포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여진다[34]. 현재 필라테스에 대한 국내 연구 분야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연구 대상자와 변인 및 관련 세부 분야에 대한 문헌 고찰과 국내·외 문헌들을 통한 비교분석은 전무한 실정이다.
체계적 고찰은 기존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오류가 최소화된 정보를 제공하며, 일반화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대상자들의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건강과 관련한 체계적 고찰이 필요하며, 체계적 고찰 결과가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11]. 그러므로 필라테스의 발전을 위해 운동반응에 대한 논리적 지식 및 임상연구에 대한 자연과학 분야의 연구 확립이 필요하다[21]. 이에 본 연구는 10년간 필라테스 자연과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필라테스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건강과 관련된 결과를 도출하여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국내 필라테스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자연과학분야의 필라테스 논문을 제목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최근 10년간(2013년~2022년)의 학술논문으로 분석하였으며, 자료의 분류는 Moher 등[23]이 제시한 문헌선정흐름도(PRISMA Flow Chart)를 참고하였다.
국내 논문은 학술정보서비스인 DP Pia, Kiss, Riss를 활용하여 ‘필라테스’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검색된 키워드 중에 학위 논문은 제외하였고, 학술논문 중 논문의 질과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국연구재단에 등록된 논문을 기준으로 KCI 우수 등재지,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논문만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논문 중 제목을 기준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상관성이 떨어지거나 연구방향이 모호한 논문은 제외시켰으며, 총 226건의 필라테스 논문을 확보하였다. 이 중 자연과학 분야의 논문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연과학과 인문사회 논문을 구분하였으며, 인문사회 117편을 제외시키고 최종적으로 105편의 자연과학 논문을 수집하였다.
국외 논문은 Pub med와 Scholar를 활용하여 ‘Pilates’ 키워드로 분석하였다. 국내 논문과 마찬가지로 학위 논문은 제외하였으며, SCI, SCIE 논문만을 수집하였다. 자연과학분야의 논문을 확보하기 위하여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로 필터링하여 187편의 논문을 확보하였다. 이중 제목을 기준으로 인문사회분야의 논문 및 상관성이 떨어지거나 연구 목적과 부합하여 방향성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해당 논문은 제외시켰으며, 최종적으로 총 129편의 자연과학분야 논문을 수집하였다.

2. 분석절차 및 자료처리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Microsoft office excel 2016를 사용하여 논문 제목을 기반으로 자료 정리 및 변인별 부호화 과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에서 제목에 다중적 변인이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변인을 독립적으로 간주하여 1건으로 처리하였으며, 결과에서 총 논문 건수의 차이가 있어도 전체 논문에 따른 비율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에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최종으로 선정된 자료 234편 중 10% 이상인 30편의 자료를 임의로 표집 하였다. 표집 된 자료는 자연과학 분야의 체육학 박사 3인에게 검토를 받았으며, 검토 결과 90% 이상 일치하여 비교적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분석된 데이터를 재검토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협의를 통해 자료분석을 완료하였다. 통계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6을 사용하였으며, 변인간의 분류기준에 따른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는 자연과학분야의 필라테스 논문을 제목기반으로 분석하여 연구 분야, 연구대상자, 연구 변인을 비교분석 하였다.

1. 분야별 구분 결과

필라테스의 자연과학 분야의 연구 결과는 아래 <Table 1>과 같다. 논문 제목으로 생리학, 역학, 재활 분야로 세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국내연구는 생리학 논문이 6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역학과 재활은 각각 24.8%, 14.2%로 나타났다. 국외연구는 역학 34.9%, 생리학 33.3%. 재활 31.8%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분야가 고른 비율로 연구되었다.

2. 대상자별 분석 결과

필라테스 연구의 대상자별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국내연구는 여성이 68.7%로 가장 높았으며, 이중 중년여성이 22.9%, 노인여성, 성인여성, 여대생 순으로 각각 15.2%, 12.4%, 11.4%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 구분이 없는 연구는 14건으로 전체의 13.3%를 차지하였다. 제목을 기준으로 국내 대상자가 언급이 되어 있지 않은 논문은 대상자 없음으로 분류하였고, 총 18건으로 전체의 17%를 차지하였다. 국외연구 결과는 여성과 성별 구분 없음이 고르게 나타났다. 여성의 비율의 40.9%를 차지했으며, 이중 노인여성이 전체의 17.8%를 차지하였다. 이외의 여성대상자는 나이 기준으로 분류한 대상자보다는 요실금여성, 비활동여성, 폐경기여성 등 특정 질환이나 특징적 요인으로 구분되어 연구가 이루어졌다. 제목에 성별 구분이 없는 연구는 전체의 49.5%로 나타났으며, 그중 요통환자 대상으로 한 연구가 11.1%를 차지하였고, 기타 다양한 대상자들이 고르게 분포되는 결과를 보였다.

3. 연구 변인별 분석 결과

필라테스 연구 변인별 분석 결과는 <Table 3>와 같다. 국내연구는 생리학 변인이 55.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중 신체조성이 16.3%로 가장 높았고, 체력 9.3%, 혈중지질 7.5% 순이었다. 역학 변인은 32.2%였으며, 균형능력 7.0%, 근활성도 5.7%, 근기능 5.3% 순으로 나타났다. 재활 변인은 전체의 11.9%로 변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은 척추부정렬과 요통으로 각각 3.5%였다. 국외연구에서는 역학, 생리학, 재활 변인 순으로 나타나 국내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역학 변인이 전체의 44.2%를 차지하였고, 이 중 근기능이 16.0%, 균형능력 11.7%, 자세 7.8%로 전체 변인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했다. 생리학 변인은 체력이 6.8%로 가장 높았고, 심폐기능, 신체조성 순으로 나타났다. 재활 변인은 국내 연구보다 2배 이상 높은 25.9%로 통증이 전체의 8.7%로 가장 높았으며, 요통과 코어안정성 순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필라테스 자연과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필라테스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국내 필라테스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라테스 운동 중재를 통한 국내·외 자연과학 분야의 연구문헌 국내 105편, 국외 129편을 선택하였으며, 3가지 관점(연구분야, 대상자, 연구변인)에서 접근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선 연구 분야별 동향을 살펴보면 국내 문헌에서 생리학, 역학, 재활순으로 생리학 분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 연구 분야별 동향은 역학, 생리학, 재활순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분야와 비교해 분포도가 고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 대상자별 비교에서 국내 문헌은 여성이 가장 높았으며, 국외 문헌은 성별 구분이 없는 문헌이 가장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변인별 분석 결과 국내에서는 신체조성을 활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국외에서는 근기능을 분석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 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필라테스 중재를 통한 연구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다음과 같이 전개하고자 한다.
국내 연구에서 생리학 분야의 연구 비중이 높게 나타난 것은 필라테스 운동이 재활 목적으로 고안되어 자세교정 및 근기능 향상의 기대감으로 운동 참여가 높아짐에 따라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과정에서 관련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국외 연구 분야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생리학 분야의 비중이 높다는 점과 변인이 제한적으로 적용된 부분은 향후 보완해 나가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국내 생리학 분야는 필라테스 운동 중재 후 신체 조성과 같은 변인들의 변화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체지방 및 근육량 같은 변인이 많이 활용되었다. 국외 연구에서는 주로 필라테스 운동을 통해 근골격계 질환에 따른 통증 개선 및 근기능 향상과 같은 재활분야의 연구가 많은 것을 비추어 볼 때, 향후 국내연구에서는 필라테스 운동 중재를 통해 분야별 다양성을 확립하고 특히 신체조성의 변화 외에도 근골격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역학 및 재활분야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외 연구 대상자를 비교분석 해보면 국내에서는 대부분 여성 대상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년, 중년, 대학생 등 연령대별로 연구가 진행된 반면 국외에서는 당뇨병, 요실금, 폐경기, 유방암, 고혈압 등 대상자들의 연령대별 연구를 넘어서 각각 대상자들의 질병 및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세부적인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별 구분 없음 항목에서도 나타나게 되는데 국내에서는 소수의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국외에서는 여성보다 더 높은 분포도를 보여주며 대상자들의 요통, 다발성경화증, 파킨슨, 만성신부전증 환자 및 노인과 아동청소년과 같이 다양한 대상자를 활용하여 진행된 결과를 볼 때 국내 연구에서 다양한 대상자의 연구 필요성 및 방향성을 제시해준다고 판단된다. 국내연구 대상자 선정 부분은 병원 및 재활센터와 같은 전문기관과의 협력이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연구 환경에 문제가 있다고 유추되지만 향후 국내 연구에서도 성별 구분 보다는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운동 중재를 통해 필라테스 운동에 대한 과학적 검증은 물론 단체간 협력을 통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라테스는 최근 국내에서 재활 및 자세교정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대중들의 많은 참여가 이뤄지고 있다[7,8,9]. 필라테스 중재를 통한 국내·외 선행연구에서도 운동수행능력 향상 및 자세 정렬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필라테스 운동의 긍정적인 효과를 과학적으로 뒷받침 해주고 있다고 판단된다[8,9,22].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분야별 균형 잡힌 연구 비중과 다양한 생리학적 변인 및 재활분야의 연구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며, 다양한 대상 및 신체특성을 고려한 자연과학분야의 연구로 필라테스 운동 중재를 통한 과학적 검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체계적 고찰은 필라테스의 현장 활용성 확대와 운동반응에 대한 논리적 지식 및 임상연구에 대한 자연과학분야의 연구 확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1.
Research analysis by trend
Domestic Research
International Research
Number Ratio (%) Number Ratio (%)
Physiology 64 61.0 43 33.3
Kinematics 26 24.8 45 34.9
Rehabilitation 15 14.2 41 31.8
Total 105 100.0 129 100.0
Table 2.
Results of subject analysis
Domestic Research
International Research
Subjects Number Ratio(%) Subjects Number Ratio(%)
Women Middle aged 24 22.9 Elderly 14 6.8
Elderly 16 15.2 Menopause 7 3.4
Adult 13 12.4 Pregnant 6 2.9
College student 12 11.4 Diabetes 4 1.9
Pregnant 4 3.8 Incontinence 4 1.9
Middle school 2 1.9 High blood pressure 4 1.9
Famer 1 0.9 Obesity 4 1.9
Inactivity 4 1.9
Female 4 1.9
Deaf 3 1.5
Teenager 3 1.5
Sub total 72 68.7 Sub total 55 40.9
No gender Stroke patient 3 2.9 Back pain 15 11.1
Obese elderly 2 1.9 Multiple sclerosis 7 5.2
Youth 1 0.9 Cervical pain 4 3.0
Archer 1 0.9 Chronic renal failure 4 3.0
Visually impaired 1 0.9 Parkinson’s 3 2.2
Adult 1 0.9 Diabetes 2 1.5
Office worker 1 0.9 Etc 12 8.9
Obese college student 1 0.9 Elderly 8 5.9
College student 1 0.9 Children 7 5.2
Elderly 1 0.9 Famer 1 0.7
20’s 1 0.9 College student 1 0.7
Obesity 1 0.7
Children with disabilities 1 0.7
Guardian children with disabilities 1 0.7
Sub total 14 13.3 Sub total 67 49.5
Men 1 0.9 0 0.0
No subject 18 17.1 13 9.6
Total 105 100.0 135 100.0
Table 3.
Results by study variable
Domestic Research
International Research
Variable Number Ratio(%) Variable Number Ratio(%)
Physiology Body composition 37 16.3 Fitness 14 6.8
Fitness 21 9.3 Cardiorespiratory function 7 3.4
Blood lipid 17 7.5 Body composition 6 2.9
Hormone 14 6.2 Etc 4 1.9
Strength 4 3.8 Pregnancy and childbirth 4 1.9
Inflammatory markers 2 1.9 Respiratory function 4 1.9
Metabolic syndrome 1 0.9 Blood lipid 4 1.9
Bone density 5 2.2 Blood pressure 4 1.9
Muscle mass 4 1.8 Muscle mass 4 1.9
Insulin resistance 3 1.3 Blood sugar 3 1.5
Menstrual pain 1 0.4 Hormone 3 1.5
Urination symptoms 1 0.4 Bone density 2 1.0
Incontinence 1 0.4 Oxidative stress 2 1.0
Gut microbiome 1 0.4 Physical activity 2 1.0
Sub total 127 55.9 Sub total 63 30.6
Kinematics Balance ability 16 7.0 Muscle function 33 16.0
Muscle activity 13 5.7 Balance ability 24 11.7
Muscle function 12 5.3 Posture 16 7.8
Posture 10 4.4 Mobility 10 4.9
Isokinetic strength 7 3.1 Walking 5 2.4
Mobility 5 2.2 Motor function 2 1.0
Pelvic alignment 4 1.8 Plantar pressure 1 0.5
Plantar pressure 4 1.8
Walking 1 0.9
Sub total 73 32.2 Sub total 91 44.2
Rehabilitation Spinal malalignment 8 3.5 Pain 18 8.7
Backpain 8 3.5 Back pain 16 7.8
Core stability 6 2.6 Core stability 10 4.9
Pain 3 1.3 Breath 7 3.4
Breath 2 0.9 Pelvic Stabilization 1 0.5
Sub total 27 11.9 Sub total 52 25.2
Total 227 100.0 206 100.0

References

1. Latey P. The Pilates method: history and philosophy. J Bodyw Mov Ther. 2001; 5(4): 275–282.
crossref
2. Shedden M, Kravitz L. Pilates exercise a research-based review. J Dance Med Sci. 2006; 10(3-4): 111–116.
crossref pdf
3. Eliks M, Zgorzalewicz-Stachowiak M, Zeńczak-Praga K. Application of Pilates-based exercise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state of the art. Postgrad Med J. 2019; 95(1119): 41–45.
crossref pmid pdf
4. McNeill W. Decision making in Pilates. J Bodyw Mov Ther. 2011; 15(1): 103–107.
crossref pmid
5. Wells C, Kolt GS, Bialocerkowski A. Defining Pilates exercise: a systematic review. Complement ther Med. 2012; 20(4): 253–262.
crossref pmid
6. Muscolino JE, Cipriani S. Pilates and the “powerhouse”—I. J Bodyw Mov Ther. 2004; 8(1): 15–24.
crossref
7. Umphred DA, Lazaro RT, Roller ML, Burton GU. Neurological Rehabilitation Mosby. 2013.

8. Fernández-Rodríguez R, Álvarez-Bueno C, Ferri-Morales A, Torres-Costoso AI, Cavero-Redondo I, Martínez-Vizcaíno V. Pilates method improves cardiorespiratory fitne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Clin Med. 2019; 8(11): 1761.
crossref pmid pmc
9. de Souza ROB, de Faria Marcon L, de Arruda ASF, Junior FLP, de Melo RC. Effects of mat pilates on physical functional performance of older adult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m J Phys Med Rehabil. 2018; 97(6): 414–425.
crossref pmid
10. de Siqueira Rodrigues BG, Cader SA, Torres , et al. Pilates method in personal autonomy, static balance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females. J Bodyw Mov Ther. 2010; 14(2): 195–202.
crossref pmid
11. Ahn HS, Kim HJ. An introduction to systematic review. J Korean Med Assoc. 2014; 51(1): 49–59.
crossref
12. Lee BR. The Study of Exploring Mechanism of Sport Grit: A Qualitative Study for Grit Growth of Athletes. Korean J Sports Sci. 2020; 29(4): 371–389.
crossref
13. Kim HH, Shim YS, Shin MJ. The influenc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Exercis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f Individual with Physical Disability. J Korean soc Wellness. 2021; 16(3): 259–268.
crossref
14. Kim HR.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of Badminton Event Sponsorship Marketing Activity and Purchasing Intention. J Sport and Leisure Studies. 2009; 37(1): 303–312.
crossref
15. Choi OJ. Effect of the participant motivation and cohesion of social baseball club members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Korean. J Sports Sci. 2022; 31(2): 663–672.

16. McNulty KL, Elliott-Sale KJ, Dolan E, et al. The Effects of Menstrual Cycle Phase on Exercise Performance in Eumenorrheic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ports Med. 2020; 50:1813–1827.
crossref pmid pmc pdf
17. van Dyk N, Behan FP, Whiteley R. Including the Nordic hamstring exercise in injury prevention programmes halves the rate of hamstring inju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8459 athletes. Br J Sports Med. 2019; 53(21): 1362–1370.
crossref pmid
18. Paolucci T, Attanasi C, Cecchini W, Marazzi A, Capobianco SV, Santilli V. Chronic low back pain and postural rehabilitation exercise: a literature review. J Pain Res. 2019; 12:95–107.
crossref pmid pdf
19. Nystoriak MA, Bhatnaga A. Cardiovascular effects and benefits of exercise. Front Cardiovasc Med. 2018; 5:135.
crossref pmid pmc
20. Lee JM, Oh DJ. 8-week Combined Exercise affected to the Body composition, Estradiol and Serotonin.

21. Baldwin KM. Research in the exercise sciences: Where do we go from here? J Appl Physiol. 2000; 88(1): 332–336.
crossref pmid
22. Lee S, Kim O, Park 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ilates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HSS21. 2021; 12(5): 395.
crossref
23. Oh H. Relationship among Social Network, Social Isolat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Pilates. J Leis Stud. 2020; 82:387–396.
crossref
24. Park D, Lim S, Park D, Lim S. Effects of Lumbar Stability and Hip Joint Mobility Exercise with Pilates Devices on Pain Level and Muscle-Joint Function in Middle-Aged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Exerc Sci. 2021; 30(4): 547–555.
crossref pdf
25. Chung J. Effects of Pilates mat Program in Scoliosis: Based on Systematic Review. J Leis Stud. 2022; 87:343–354.

26. Kim H, Kim J, Zhou Y, Kim C. The Effects of 12-week Instrumental Pilates o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and Body Composition in College Women. Korean J Sports Sci. 2021; 32(3): 363–372.
crossref pdf
27. Hyun A, Cho J. Effect of 8 weeks un-tact pilates hom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bdominal obesity, pelvic tilt and strength, back pain in overweight women after childbirth. Exercise Sci. 2021; 30(1): 61–69.
crossref pdf
28. Rydeard R, Leger A, Smith D. Pilates-based therapeutic exercise: effect on subjects with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6; 36(7): 472–484.
crossref pmid
29. Eliks M, Zgorzalewicz-Stachowiak M, Zeńczak-Praga K. Application of Pilates-based exercise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state of the art. Postgrad Med J. 2019; 95(1119): 41–45.
crossref pmid pdf
30. Suárez-Iglesias D, Miller K, Seijo-Martínez M, Ayán C. Benefits of Pilates in Parkinson’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 2019; 55(8): 476.
crossref
31. Wang Y, Chen Z, Wu Z, Ye X, Xu X. Pilates for overweight or obesity: a meta-analysis. Front Physiol. 2021; 12:643455.
crossref pmid pmc
32. Fernández-Rodríguez R, Álvarez-Bueno C, Ferri-Morales A, Torres-Costoso A, Cavero-Redondo I, Martínez-Vizcaíno V. Pilates method improves cardiorespiratory fitne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Cin Med. 2019; 8(11): 1761.
crossref
33. Choi J, Lee Y. A Plan to Vitalize Sports Instructor System in Elementary School. Korea J Sport Sci. 2017; 15(1): 337–346.

34. Moher D, Shamseer L, Clarke M, Ghersi D, Liberati A, Petticrew M, Stewart L.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otocols (PRISMA-P) 2015 statement. Syst Rev. 2015; 4(1): 1–9.
crossref pmid pmc pdf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276 View
  • 54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AJK


ABOUT
BROWSE ARTICLES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Office of 10th Gangnam Sangga, 303, Hyoryong-ro, Seochogu, Seoul, Korea (06643)
Tel: +82-10-4044-3814    E-mail: ajk.editor@gmail.com                

Copyright © 2024 by The Asian Society of Kinesiology and the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